할랄(HALAL) 인증이란?
이슬람율법(Shariah)에 따라 허용된 것을 의미하는 할랄(HALAL)은 이슬람국가의 정부 또는 민간기관이 주도하여 제품이 이슬람 율법에 어긋나지 않은 제품임을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인증 개요
할랄 인증은 최근 식품뿐 아니라 패션, 화장품, 의약품, 관광 및 물류 산업까지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신앙을 중시하는 이슬람 사회에 진출하기 위한 필수요건입니다. 말레이시아 정부 산하 할랄 인증기관 JAKIM을 필두로 전세계 약 18억 명 무슬림이 분포된 57개 이슬람 국가의 할랄 인증은 점차 인증기관이 정부기관으로 이관됨에 따라 의무화되고 있습니다. 인증에 종교적 기준을 더한 할랄 인증제도는 점차 이슬람 국가에 진출하는 업체에 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대상 품목
이슬람국가에 진출하기 위한 식품, 화장품, 의류 및 완구 등 모든 제품에 적용됩니다. 단, 이슬람 율법에 따라 금기시되는 *하람(Haram) 성분 포함시 대상 품목에 제외됩니다.
*하람 : 이슬람 성서 코란(Koran)과 예언자 무함마드의 언행에 근거하여 이슬람 율법에 금지된 것
구분 | 할랄에 허용되는 범위 | 할랄에 금기시 되는 범위 |
---|---|---|
식품 |
|
|
화장품 |
|
|
기타 |
|
|
할랄 표준
할랄 표준은 국가마다 상이한 표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가 | 할랄 표준 |
---|---|
말레이시아 | MS 1500:2009[할랄 식품] MS 1900:2014[할랄 품질관리] MS 2393:2013[할랄 원칙] MS 2200-1:2008[할랄 화장품] MS 2565:2014[할랄 포장] 등 |
중동 | UAE.S 2055-1:2015[할랄 식품] UAE.S 2055-2:2016[할랄 인증기관] UAE.S 2055-4:2014[할랄 화장품] 등 |
한국 | KS H 1061:2015[할랄 식품] |
신청 절차
할랄 인증은 기관마다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자료접수, 검토 및 평가, 승인의 단계를 거칩니다.

제출 서류
- 할랄 인증 신청서
- 사업자등록증
- 실제품 샘플
- 제조공정도와 제품 생산절차
- 성분•원재료의 목록 및 포장패키지(복합성분은 각 함량별로 표기)
- 제품 시험성적서(필요시)
- 공장 배치도 및 주변 지도
- 동물성원료 사용시 할랄인증서 또는 도축증명서
- HACCP•ISO•CGMP•GHP 등 보유한 인증서
- 제조공정에 주정 사용시 생산품의 에탄올 함량 0.5% 이내인 분석 확인서
- 기타서류 : 방사능검사 시험성적서, Non-GMO 확인서, 중금속 & 잔류농약 & 화학물 시험성적서 등
인증 마크
할랄 인증은 사전컨설팅을 통해, 진출하려는 국가에 적합한 인증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국가와 종파 간 견해와 문화차이로 인해 할랄 인증이 통합되지 않아, 일부 기관끼리 각 할랄 인증에 대한 교차인증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신력과 인지도를 갖춘 할랄 인증을 필요로 하며, 대표적인 인증기관은 중동의 RACS, 동남아시아 JAKIM, 중국 ARA 등이 있습니다.

<아랍에미리트 ESMA 인증>

<말레이시아 JAKIM 인증>

<중국 ARA 인증>
소요 기간
약 6개월 ~ 1년 (인증과 제품에 따라 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