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 접수

CCICKOREA에 대한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문의 접수를 위해 정보를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필수입력(*)

0 / 2000byte

CCIC KOREA는 개인정보 보호에 따른 관련법규를 준수합니다.

.rev_slider_nav .icon

중국 NMPA, 화장품플랫폼 운영감독관리방법 발표 중국 NMPA, 화장품플랫폼 운영감독관리방법 발표 지난 4월 4일 중국국가약품감독관리총국(NMPA)은 중화인민공화국 경내 화장품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자 및 플랫폼 내 화장품 운영자에 대한 요구 사항을 제시하는 <화장품플랫폼 운영감독관리방법>을 공식 발표했다. 본 관리 방법은 2023년 9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이며 구체적인 방법 내용은 아래와 같다. 화장품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자는 화장품 품질안전 관리 기관을 설립하고 품질안전 관리 인력을 갖춰야 한다. 또한, 화장품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자는 플랫폼 내 화장품 운영자의 일상 점검을 요구할 수 있다. 일상 점검에는 온라인 제품 정보 공개 검사, 일일 경영 검사 등이 있다. 화장품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자는 일상 점검, 규제 공개정보 자체 점검 등 품질안전관리 활동을 해야 한다. 또한, 약품감독관리부 정보 통보를 통해 플랫폼 내 화장품 경영자의 불법적 운영을 발견할 수 있다. 불법 운영을 발견할 경우, 플랫폼 삭제, 링크 차단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적시에 제지한다. 공개된 화장품 라벨 정보는 취급 화장품 라벨의 모든 내용을 포함한다. 제품명, 제품 집행 표준 번호는 제품 전시면에 문자로 표시하고, 제품 안전 및 효능 관련 정보는 화장품 등록비안 자료의 관련 개요 내용과 일치해야 한다. 플랫폼 내 화장품 운영자는 취급 화장품의 제품 품질 및 안전에 관해 감독하고, 정보 공개에 주의한다. 의약품 감독 관리자의 샘플링 검사를 통해 부적합 화장품으로 분류된 특정 화장품에 대하여 플랫폼 내 화장품 운영자는 즉시 영업을 중단한다. 샘플링 검사에서 금지된 원료, 인체 건강 유해 물질 및 어린이 화장품 관련 규정 부합 물질이 검출될 경우, 플랫폼 내 화장품 운영자는 규정에 부합한 특정 제품에 대하여 영업을 즉시 중단한다. 중국 국경 간 전자상거래 수입 화장품 관련 종사자는 본 법안을 적용하지 않으며, 전자상거래 수입화장품 국가 규정을 준수한다. 원문: 国家药监局关于发布《化妆品网络经营监督管理办法》的公告(2023年第36号) (nmpa.gov.cn)
2023년 해외규격인증 획득지원 사업 2차 참여기업 모집공고 2023년 해외규격인증 획득지원 사업 2차 참여기업 모집 안내 드립니다. 현재 CCIC KOREA는 해외규격인증획득 지원사업의 수행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인증 서비스 신청 시 소요되는 인증비, 시험비, 컨설팅비 등 최대 4품목에 대해 소요비용의 50%~70% 이내에서 비용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많은 기업분들의 참여 부탁드리며 인증 관련 문의는 하기 담당자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ㅇ 신청방법 :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센터 홈페이지(https://www.smes.go.kr/globalcerti/)신청 ㅇ 신청기간 : <패스트트랙> ’23. 05. 02(화) 9시 ∼ 상시(예산 소진시 까지) <일반트랙>  ’23. 05. 02(화) 9시 ~ 05. 31(수) 18시 까지’ ㅇ 신청자료 : 신청자료 등 자세한 사항은 하기 유첨 파일 참고 바람 ㅇ CCIC KOREA 제공 가능 서비스 범위 및 담당자 연락처 인증 종류 업무 담당자 연락처 이메일 CCC, CQC, SASO, SRRC, CEL, MOH 채지영 02-6393-5850 caizhiying@ccickorea.com 김영명 02-6393-5863 jinyingming@ccickorea.com CSEL, CSP 신문걸 02-6393-5850 xinwenjie@ccickorea.com 화장품 중국 NMPA, 유럽 CPNP   김병욱 02-6393-5828 jinbingxu@ccickorea.com 채지영 02-6393-5850 caizhiying@ccickorea.com 식품 SAMR보건식품 허가등록, 중국 식품수화인등록(라벨링) 중국 유기인증 홍영하 02-6393-5836 hongyingxia@ccickorea.com GB TEST 전기전자, 자동차, 완구, 공산품 이정희 02-6393-5858 lizhengxi@ccickorea.com 식품, 영유아용품, 위생용품 채지영 02-6393-5850 caizhiying@ccickorea.com
2023년 중국 화장품 업계 시장 현황 및 발전 전망 2023년 중국 화장품 업계 시장 현황 및 발전 전망 2023-04-12 중국 화장품 산업 시장규모의 급속한 성장 최근 화장품 소비층이 증가하며 화장품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Euromonitor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 화장품 시장 규모는 현재까지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시장규모 성장률은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감소 후 증가했으며, 시장규모와 성장률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은 9.3%에 미친다. ▲중국 화장품시장규모(억 위안)와 성장률(%)을 나타내는 그래프 한편, 중국 화장품 업계는 여러 브랜드사와 경쟁 관계에 있다. 중국 화장품 시장은 가격과 타겟 소비층에 맞춰 고급 화장품, 프리미엄 화장품, 중고가 화장품, 대중 화장품, 가성비 화장품으로 세분화했다.   고급 화장품 및 프리미엄 화장품 시장은 겔랑 (Guerlain), 크리스틴 디올(CD), 샤넬(Chanel), 클라란스(Clarins), 랑콤(Lancome), 에스티로더(Estee Lauder) 등이 있다. 글로벌 브랜드를 점유하고 있으며 고소득층 소비자를 타겟팅 한다. 중고가 화장품 시장은 외국브랜드와 국내브랜드가 점유하고 있다. 최근 국내브랜드의 인지도 향상으로 외국브랜드와 국내브랜드는 경쟁관계에 놓였다. 외국브랜드는 올레이(Olay), 로레알파리(L'OREAL PARIS), 시세이도(SHISEIDO) 등이 있으며, 국내브랜드는 바이차오지(佰草集), 완메이(丸美) 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대중 화장품도 외국브랜드와 본토브랜드로 나뉜다. 타겟층은 중·저소득층 소비자이며, 대형마트, 체인점, 전자상거래 등에 입점해 있다. 대중 화장품의 외국브랜드로 니베아(NIVEA), 폰즈(POND'S), 본토브랜드로 샹이번차오(相宜本草), 쯔란탕(自然堂), 딩지아이(丁家宜)등이 있다. ▲계급화된 중국화장품브랜드의 경쟁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국제브랜드 경쟁에서 압도적 우세 국제브랜드는 제품 마케팅 및 R&D 투자로 제품 품질에 호의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갖추고 있다. 반면 중국 국내 화장품사는 빈번한 안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Euromonitor의 통계에 의하면 중국 화장품 시장은 세계적 브랜드 화장품사가 점유한다. 상위 화장품사로 로레알파리(L'OREAL PARIS), 프록터앤드갬블(P&G), 에스티로더(Estee Lauder) 등이 있다. 시장 점유율은 각각 12.2%, 9%, 5.4%이다. ▲2021년 중국화장품 산업의 시장점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중국 백화점 내 입점 되어있는 로레알(L'OREAL) 매장 모습 중국 국내화장품기업, 국제화장품 시장에서의 낮은 점유율 국제화장품 시장에서 중국 국내화장품 브랜드는 낮은 점유율을 차지한다. 오우루이(欧睿) 통계에 의하면 2021년 세계 상위 50위권 내에 있는 중국 국내화장품 기업은 5개에 불과하다. ▲2016년-2021년 중국 화장품 산업의 전국 시장점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중국 화장품 산업, 향후 발전 가능성↑ 중국 국내화장품 시장은 큰 시장규모와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향후 국제화장품업계의 선도 기업으로 촉망받는다. 특히 미용 및 개성 추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화장품 시장은 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2028년 중국 국내화장품 시장규모는 9375억 위안, 연평균 성장률은 7.11%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2023년-2028년 중국화장품 산업의 시장규모(억 위안)을 나타내는 그래프 기사원문 참조: https://baijiahao.baidu.com/s?id=1759853267263751137&wfr=spider&for=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