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의 접수

CCICKOREA에 대한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문의 접수를 위해 정보를 입력해 주시기 바랍니다.

필수입력(*)

0 / 2000byte

CCIC KOREA는 개인정보 보호에 따른 관련법규를 준수합니다.

.rev_slider_nav .icon

CCIC KOREA, 2023년 화장품 중국 NMPA 인허가 기업 간담회 개최 CCIC KOREA, 2023년 화장품 중국 NMPA 인허가 기업 간담회 개최 지난 10월 20일 CCIC KOREA는 상암동 KGIT 사옥에서 2023년 화장품 중국 NMPA 인허가 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오랫동안 CCIC KOREA를 통해 중국 화장품 NMPA 비안 등록을 진행하고 있는 당사 고객사분들을 초청하여 마련한 자리였다. 약 20여 개 기업의 40여 명의 기업 관계자분들이 참석한 이번 간담회는 총 2개의 PART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PART1는 기업들이 여전히 대응하기 어려워 하는 원료 신고 및 효능 클레임 요구 사항에 대한 최신 변동 사항을 발표했고, PART2에서는 화장품 중국 사후 샘플링 검사, 온라인 판매 플랫폼 감독관리, 해외 제조상 심사 등에 대한 사후 관리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화장품 기업 관계자들은 기존 중국 NMPA 비안을 진행했던 이력을 소개하면서 당시 느꼈던 애로사항에 대해서 호소하였고, CCIC KOREA측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 및 최근 이슈 사항에 대해서 소개하며 자유롭게 소통하며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CCIC KOREA는 2011년부터 지금까지 화장품 중국 NMPA 및 유럽 CPNP 인허가 업무 서비스를 꾸준히 제공해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요가 증가하는 베트남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제품 수출 등록 및 새로운 형태로 업그레이드된 미국 MoCRA 제품 리스팅 및 시설 등록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미국 화장품 규제 MoCRA(모크라) 플랫폼 23년 10월 오픈 예정 미국 화장품 규제 MoCRA(모크라) 플랫폼 23년 10월 오픈 예정 미국에 화장품을 판매 유통하기 위해서는 기존에는 VCRP 프로그램에 따라 기업에서 자율적으로 제품과 제조공장을 등록해왔으나 2022년 12월에 제정한 새로운 규제법인 MoCRA에 따라 미국에 판매되는 모든 화장품 제품은 새로운 관리 플랫폼에 등록되어야 한다. 이 플랫폼은 2023년 10월 정식 오픈 예정이다. 1.MoCRA 시설 등록 및 제품 등록 기한 *기존: 2022년 12월 29일 이전부터 미국으로 수출 판매했던 기업들은 2023년 12월 29일까지 시설 등록 및 제품 등록 완료 *신규: 2022년 12월 29일 이후부터 미국으로 수출 판매했던 기업들은 처음 제조 및 가공 시점으로부터 60일 이내 혹은 2024년 2월 27일까지 시설 등록 및 제품 등록 완료 2.미국 화장품 범위 1 유아용 제품 2 목욕 제품 3 눈 화장용 제품을 포함한 모든 컬러 메이크업 제품 4 눈 화장용 제품을 포함ㅎ한 모든 어린이용 컬러 메이크업 제품 5 향수 제품 6 헤어 케어 제품(비염색) 7 헤어 컬러 제품 8 매니큐어 제품 9 구강 제품 10 개인 청결 제품 11 면도 제품 12 보습제와 같은 스킨케어 제품 13 선탠 제품 14 문신 제품 15 기타 3.MoCRA 주요 내용 및 준비사항 (1) 시설 등록(Facility Registration) – 시설 등록 식별 번호(FEI) 필요  미국 내 판매 중인 화장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 및 가공업체는 FDA에 시설 등록을 해야 함 (2년마다 등록 갱신)  *GMP 등록 준수 필수 (2) 제품 등록(Product Listing): 제품 성분을 포함한 제품을 리스트 나열하고 매년 업데이트를 제공해야 함 (2-1) 제품 등록 시 필요 정보: 제품 제조 시설의 등록 번호 제품명 및 제품 담당자 정보 제품의 카테고리 향기, 맛, 혹은 색상을 포함한 제품의 전성분 FDA로부터 발급받은 제품 리스트 번호 (있는 경우) (3)유해 사례 보고 및 기록관리(Adverse Event Report and Keeeping): 화장품 제조업체 및 가공업체는 제품 사용과 관련한 모든 유해 사례 기록을 6년 동안 유지해야 함(미국 연 매출 13억 이하의 소기업인 경우에는 3년 유지)  시설 책임자는 화장품 사용과 관련한 부작용 및 유해 사례를 보고 받은 후 영업일 기준 15일 이내 FDA에 보고 필수 CCIC KOREA에서는 미국 화장품 MoCRA 업무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미국 화장품 MoCRA 업무 대행 문의 02-6393-5850/02-6393-5868 caizhiying@ccickorea.com     
CCIC KOREA, 대구한의대학교와 화장품 분야 해외 인허가 간담회 진행 CCIC KOREA, 대구한의대학교와 화장품 분야 해외 인허가 간담회 진행 지난 8월 17일 CCIC KOREA는 경북 경산에 위치한 대구한의대학교를 방문하여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산업협업센터(ICC)와 화장품 분야 중국 인허가 관련하여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산업협업센터(ICC) 관내 화장품 중소기업들의 중국 화장품 NMPA 비안 등록에 대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두 기관이 함께 해결을 모색하기 위해 화장품산업협업센터(ICC)의 초청으로 이루어졌다. 이번 간담회에는 대구한의대 박수진 산학협력단장 겸 LINC+사업단장, 한중경제문화교류협회 최계희 대구경북지회장(대구한의대학 특임교수), 전중하 경상북도화장품산업협회 회장을 비롯한 여러 화장품 기업 대표 및 관계자들, CCIC KOREA 리우진웨이(LIU JINWEI) 지사장, CCIC KOREA 제품인허가 총괄 채지영 본부장, CCIC KOREA 화장품팀 김병욱 팀장이 참석하였다.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화장품 기업 관계자들은 기존 중국 NMPA 비안을 진행했던 이력을 소개하면서 당시 느꼈던 애로사항에 대해서 호소하였고, CCIC KOREA측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 및 최근 이슈 사항에 대해서 소개하며 자유롭게 소통하며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   대구한의대 박수진 산학협력단장 겸 LINC+사업단장은 “여전히 많은 화장품 기업들이 중국 및 해외 인허가에 대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애로 해결에 대한 기회가 마련되길 바라며, 향후 대구한의대와 CCIC KOREA가 협력하여 경북 화장품 산업 성장과 중국 수출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CCIC KOREA 리우진웨이 지사장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중국 시장 내 입지가 예전보다 좁아진 건 사실이다”라고 말하며 “그러나 한국 화장품 기업들의 수출 점유율을 보면 아직도 중국 시장이 거의 50%에 육박하기 때문에 중국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향후 CCIC KOREA 대구경북지역 내 화장품 기업들이 중국 수출을 최대한 원활하게 할 수 있게 중국 NMPA 비안 등록에 대해서는 최선을 다해 지원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